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9

인생이 지칠 때 용기와 힘을 주는 위인 명언 100가지 1. 삶이 있는 한 희망은 있다. - 키케로2. 하루에 3시간을 걸으면 7년 후에 지구를 한 바퀴 돌 수 있다. - 사무엘 존슨3. 언제나 현재에 집중할 수 있다면 행복할 것이다. - 파울로 코엘료4. 절대 어제를 후회하지 마라. 인생은 오늘의 내 안에 있고, 내일은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 L 론 허바드5.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간다. - 앙드레 말로 6. 먼저 핀 꽃은 먼저 진다. 남보다 먼저 공을 세우려고 조급히 서둘 게 아니다. - 채근담 7. 산다는 것, 그것은 치열한 전투다. - 로망 로랑8. 직업에서 행복을 찾아라. 아니면 행복이 무엇인지 절대 모를 것이다. - 앨버트 허버드9. 진정으로 웃으려면 고통을 참아야 하며, 나아가 고통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 찰리.. 2025. 4. 14.
현명한 삶을 위해 절대하지 말아야 할 5가지 무언가를 잘하는 것만큼, 하지 않아야 할 것을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현명한 삶을 살기 위해 하지 말아야 할 것들 중 대표적인 5가지로 '자랑, 의존, 불평, 도망, 휘둘림'이 있다.  1.자랑스스로 빛나는 사람은 애써 자신을 설명하지 않아도 빛난다. 자기만의 아우라 그 자체로 자기 가치를 증명하며 이는 사람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된다. 때문에 애써 자기 자랑에 열을 올릴 필요가 없다. 자기 자랑을 심하게 하는 이유에는 불안이 있다. 자랑하지 않으면 자신을 알아봐주지 않을 것이란 불안함. 이 불안함을 해소하기 위해 겉으로 부풀려 말하는 것이 자랑이다. 자신을 자랑하기 위한 말들은 과하게 화려해지고 이럴수록 되려 품격은 사라진다.현명한 이들은 말로 설득하지 않고 삶 그 자체로 설명한다. 기억하자. 내공이 깊.. 2025. 4. 13.
노래방을 영어로 가라오케(Karaoke)라 부르는 이유 노래방은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여가문화 중 하나다.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도 노래방 문화를 즐기고 있다.노래방은 말 그대로 '노래하는 방'인데, 외국에서는 대체로 가라오케, 카라오케(Karaoke)라 부르곤 한다.어감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어에서 유래했다.  가짜 오케스트라, 가라오케 가라오케는 가짜라는 뜻의 일본어 가라(空 から)와 영단어 오케스트라(Orchestra)가 합쳐진 재플리쉬(Japanese English)다.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가 가짜로 들어있는, 노래 반주를 재생해주는 기계를 고안해 냈기 때문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영단어를 차용해 일본에서 만든 단어가 역으로 영어권 국가에도 퍼져나가면서 공식 단어로 자리잡아 오늘에 이른다.가라오케 기계는 일본 사업가 다이스케 이노우에(Dai.. 2025. 4. 8.
[불멸의 섹스심벌] 헐리우드 스타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어록 모음 1. 살아보기 전까진 인생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다.You never know what life is like, until you have lived it2. 선정적인 것은 오직 자연스럽고 즉흥적일 때만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I think that sexuality is only attractive when it's natural and spontaneous3. 계속 웃어라, 인생은 아름답고 웃어야 할 일로 가득 차 있다.Keep smiling, because life is a beautiful thing and there's so much to smile about4. 지혜로운 소녀는 자신의 한계를 알고, 현명한 소녀는 자신이 아무것도 가지지 못했다는 것을 안다.A wise girl knows her.. 2025. 4. 8.
알고 있으면 현명한 소비를 돕는 '디드로 효과' 유래와 인물 소개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물건 하나를 사고나면 그 물건과 어울리는 다른 물건을 계속 구매하며 또 다른 소비가 이어지는 현상 유래드니 디드로(Denis Diderot)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계몽주의 철학자, 작가다. 무신론을 가장 앞서 주장한 철학주 그룹에 속한다. 백과전서 편집 외에도 철학, 소설, 희곡, 미술비평 등 다방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문필가기도 하다. 하지만 생애 전반을 가난 속에서 살았다. 상황이 반전된 건 1765년이었다. 딸이 결혼을 앞두고 있었는데 비용을 치를 만한 여력이 안 됐다. 그러나 디드로는 당대 최고의 지식백과 저자 겸 공동 설립자로 이름을 알린 상황이었다. 평소 를 즐겼던 러시아 제국의 황제 예카테리나 2세가 디드로의 재정문제를 듣고 그를 돕고자 나섰다. 디드.. 2024.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