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을 만드는 정보들34

4.19 혁명을 대표하는 시 <껍데기는 가라> 뒷이야기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4월도 알맹이만 남고껍데기는 가라.껍데기는 가라.동학년(東學年)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남고껍데기는 가라.그리하여, 다시껍데기는 가라.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아사달과 아사녀가중립의 초레청 앞에 서서부끄럼 빛내며맞절할지니껍데기는 가라.한라에서 백두까지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헌법 전문 中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우리 사회가 4.19민주이념을 계승한다고 명시돼 있다. 신동엽 시인의 시 는 4.19 혁명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시에 꼽힌다. 시는 시단동인회지 .. 2025. 4. 15.
남미에서 브라질만 포르투갈어를 쓰는 이유 라틴아메리카, 남미(South America)에는 현재 12개 나라가 존재한다. 이 중 거의 모든 나라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데 브라질만 포르투갈어를 사용 중이다.유럽의 식민지배를 거친 역사에서 큰 차이가 없는데, 왜 남미 대륙 중 유일하게 브라질만 포르투갈어를 사용할까?그 이유는 1494년 6월 7일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체결한 토르데시야스 조약(Tratado de Tordesillas)에 뿌리두고 있다. 대항해 시대, 신대륙의 발견15세기 포르투갈은 항해를 통해 적극적으로 식민지를 늘려가고 있었다. 실크로드 등 육로로 아시아와 직접 무역을 할 수 없는, 유럽 가장 서쪽에 위치한 포르투갈에겐 불가피한 선택이었다.항해를 통한 아시아와의 직접 무역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서쪽 대서양을 거쳐 인도로 가.. 2025. 4. 14.
노래방을 영어로 가라오케(Karaoke)라 부르는 이유 노래방은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여가문화 중 하나다.한국 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도 노래방 문화를 즐기고 있다.노래방은 말 그대로 '노래하는 방'인데, 외국에서는 대체로 가라오케, 카라오케(Karaoke)라 부르곤 한다.어감에서 알 수 있듯이 일본어에서 유래했다.  가짜 오케스트라, 가라오케 가라오케는 가짜라는 뜻의 일본어 가라(空 から)와 영단어 오케스트라(Orchestra)가 합쳐진 재플리쉬(Japanese English)다.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가 가짜로 들어있는, 노래 반주를 재생해주는 기계를 고안해 냈기 때문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영단어를 차용해 일본에서 만든 단어가 역으로 영어권 국가에도 퍼져나가면서 공식 단어로 자리잡아 오늘에 이른다.가라오케 기계는 일본 사업가 다이스케 이노우에(Dai.. 2025. 4. 8.
일상 속 단어로 자리잡은 뽀찌(ぽち) 뜻과 진짜 유래 뽀찌(ぽち, Pochi)뽀찌(ぽち, Pochi)라는 단어를 일상 곳곳에서 접할 수 있다. 어감에서 추측할 수 있듯 일본어에서 유래했다. 네이버 국어사전(오픈사전)에서는 "경기나 도박 등에서 이기거나 많은 돈을 획득한 사람이 기쁨과 감사함의 표시로 주위 사람들에게 일정량의 사례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해 두었다. 하지만 도박 현장 외에도 급여 외에 따로 나오는 떡값, 중간에서 어떤 일을 성사시켜주고 받는 사례, 일을 성사시키기 위해 주는 뇌물 등 일상적인 경우 외 추가적으로 돈이나 댓가를 주고 받는 경우에 '뽀찌 주다, 뽀찌받는다, 뽀찌 떼다.' 는 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어 사전에 따르면 뽀찌의 뜻은 두번째 경우가 더욱 적합하다. 일본어 뜻일본어 Wikitionary에서는 뽀찌를 작은 점이라고 .. 2024. 8. 15.